티스토리 뷰
언어의첫 번째 특성, 자의성
언어의 주요 특성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자의성, 사회성, 창조성, 역사성입니다.
첫 번째 특징인 언어의 자의성은 언어의 형식과 내용의 독립성을 말합니다. 언어의 의미(내용)와 소리(형식)의 관계는 필연적이 아니라 임의적이라는 것입니다. 요컨대, 언어는 기호와 그에 상응하는 의미의 체계이기 때문이죠. 언어를 통해 사용되는 단어, 문장, 발음 등이 그런 기호에 해당합니다.
기호의 자의성은 형식에서 그 뜻을 연상할 수 있는 것을 말해요. 연기→ 불, 금연→ 담배 그림처럼 말이죠. 즉, 형식과 의미의 관계가 직접적이거나 필연적이지 않다는 뜻입니다. 관습이나 관례처럼 말이죠. 일반적인 기호 체계의 형식과 의미를 살펴보면 기호는 필연성과 자의성을 동시에 갖고 있습니다.
언어학자 소쉬르는 이 기호 체계를 양면의 심리적 실체로 보았습니다. 그것들은 ‘시니피앙’ signifiant(signifier/ sound-image 기표)와 ‘시니피에’ signifie (signified/concept 기의)라고요. 그는 “시니피앙과 시니피에 사이의 관계는 필연적이 아니고 자의적이다. 언어 기호의 가치는 기호 전체에서의 상관관계에 의해 결정된다.”라고 말했습니다.
언어는 왜 자의적일까
그러면 언어는 왜 자의적일까요? 그것은 상징이 물리적 실체와 추상적 실체를 대체하기 때문입니다. 언어는 시간과 공간적으로 세상을 분리(displacement)하여 마음에 담아서 개념화(conceptualizaion)합니다. 여기서 개념(concepts)은 사고의 단위를 말하는데, 이것이 나아가 사회적 관습(social convention)이 됩니다. 결국 인간은 언어 기호로 사고하고 소통하며 문화를 형성하고 발전시키니까요.
그러면 문장의 구조(단어 순서, 억양 등)와 그 의미 사이의 관계도 자의적인 것일까요? 먼저, 어휘 수준의 자의성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사물과 추상적 개념의 이름에는 명사와 대명사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어의 ‘집’을 예로 들면 영어는 ‘house’, 스페인어는 ‘casa’, 프랑스어는 ‘maison’라고 부릅니다.
어떤 사건이나 상태에 대한 서술어로는 동사와 형용사가 있습니다. 한국어의 ‘사랑하다’는 영어로 ‘love’, 프랑스어는 ‘aimer’, 일본어로는 ‘あいする’라고 말합니다. 이 밖에 의성어가 있는데, 동물의 울음소리 같은 걸 표현하죠.
문장과 어순의 자의성
문장 차원의 자의성도 존재합니다. 단어 결합의 형식적 원리를 통사론(Syntax)이라고 하는데, 단어 결합의 순서는 언어마다 달라요. 이를 어순(word order)이라고 하는데, 주어+목적어+동사나 수식어+부사처럼 말이죠. 어순은 현실 세계에서의 물리적 사건의 배열과는 무관합니다. 예를 들면, "철수가 공을 잡았다"와 "공이 철수에게 잡혔다"의 차이처럼요.
어순의 자의성도 있습니다. 어순의 자의성은 어떤 언어에서 어떤 단어가 나타나는 순서가 화자의 의도나 강조점에 따라 변하는 특징을 보여줍니다. 많은 언어에서 일정한 어순의 규칙을 따르지만 특정한 의도나 맥락에 따라 자유롭게 변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주어-목적어-동사의 어순은 한국어에서 일반적이고, 주어-동사-목적어의 어순은 영어에서 사용됩니다. 그러나 한국어나 영어에서 어순이 뒤바뀌는 경우는 얼마든지 많습니다. 또한 어순의 자의성은 시적인 효과나 감정을 강조하는 수단으로 변용되기도 해요. 문학 작품이나 시에서 언어의 아름다움과 창의성을 강조하고 표현할 때 흔히 활용되니까요.
일반적인 어순의 유형은 주어(S)-목적어(O)-동사(V)의 배열 순서를 말합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6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
- 1 유형 : 주어 + 목적어 + 동사
- 2 유형 : 주어 + 동사 + 목적어
- 3 유형 : 동사 + 주어 + 목적어
- 4 유형 : 동사 + 목적어 + 주어
- 5 유형 : 목적어 + 동사 + 주어
- 6 유형 : 목적어 + 주어 + 동사
요약하면, 우리는 언어의 자의성을 통해서 언어는 문법적 규칙이나 어휘 사용을 확립하는 규칙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에는 언어의 '사회성'과 '창의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전 글 보기] '언어'에 대한 궁금증 : 다양한 관점의 정의 및 일반적 정의
'언어'에 대한 궁금증 : 다양한 관점의 정의 및 일반적 정의
‘언어’ 하면 떠오르는 것 : 다양한 궁금증'언어' 하면 무엇이 떠오르나요? 내가 현재 사용하는 한국어 또는 영어? 말이나 글? 우리는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누구나 언어를 사용합니다. 언어는
white-tiger.co.kr
'언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어 습득 실험 : 고립된 아이들과 '님 침스키', 언어의 본질적 탐구 (0) | 2024.03.05 |
---|---|
언어의 기원에 대한 호기심, 언어 실험과 사회 환경 (0) | 2024.03.04 |
언어의 특성-3. 언어의 역사성, 현존하는 언어 (0) | 2024.03.02 |
언어의 특성-2. 사회성과 창조성 (0) | 2024.03.01 |
'언어'에 대한 궁금증, 다양한 관점의 정의 및 일반적 정의 (0) | 2024.02.26 |
- Total
- Today
- Yesterday
- 사랑 우정 돈에 관한 속담
- 보노보 칸지 #새비지-럼보
- 언어 모방 능력자 앵무새 #밤색머리 꼬리치레 #회색 앵무새 알렉스
- 침팬지의 의사소통 실험 #구아 #비키 #사라 #님 침스키
- 인공어 제작 #zompist
- 동물의 의사소통 #개미의 언어 '페로몬'
- 국가별 속담 비교 분석
- 국가별 속담 비교
- 언어와 속담
- 국제 언어학 올림피아드
- 언어와 문화 #문화적 다양성 #윌리엄 라보프 #바질 번스타인
- 베르니케 영역 #베르니케 실어증 #브로카 영역 #브로카 실어증 #
- foxp2 #언어 유전자
- 인공지능 #인공지능의 핵심 기술 #언어 정보 처리 기술
- 동물의 의사소통 #오랑우탄 찬텍 #고릴라 #와쇼 #코코
- 칼 폰 프리쉬 #꿀벌의 춤 #스티븐 로저 피셔 #언어의 역사
- 언어 상대성 #언어 결정론
- 솔레솔 #인테르링구아 #링구아 프랑카 노바 #인공어
- 예술어 #퀘냐 #신다린 #클링온어
- 한국 언어학 올림피아드 #신청 절차 #문제 유형 #준비 전략
- 언어의 역사성 #에스놀로그 #현존하는 언어 #원형 언어
- 로지반 #토키 포나 #이쓰쿠일 #링코스 #프로그래밍 언어
- 아즈텍 개미
- 세계 top 10 언어학과 대학교
- 동물의 의사소통 #침팬지 #노암 촘스키 #님 침스키 #하버트 테라스
- 님 침스키 #버윅 #촘스키
- 인공어 #에스페란토 #우니쉬
- 아프리카의 속담
- 영화 her #인공지능과 인간의 대화 가능성
- 각국의 속담 비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